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넵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넵스키는 1220년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2세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노브고로드 공으로 임명된 후 1242년 페이푸스 호 전투에서 튜튼 기사단을 격파하여 국민적 영웅으로 숭배받았다. 킵차크 한국과의 관계를 중재하고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취임하여 루스 공국과 킵차크 한국 사이를 중재했으며, 1263년 사망했다. 그는 동방 정교회의 성인으로 추대되었으며, 러시아의 국민적 영웅으로 칭송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20년 출생 - 다케다 노부토키
    다케다 노부토키는 가마쿠라 시대의 무장으로, 아키 슈고를 역임하고 1279년에 출가하여 코우카이로 불렸으며, 그의 증손인 다케다 노부타케가 가이 국 슈고를 계승하여 무로마치·센고쿠 시대까지 이어졌다.
  • 1220년 출생 - 고사가 천황
    고사가 천황은 가마쿠라 시대 제88대 일본 천황로, 시조 천황의 죽음 후 즉위하여 가마쿠라 막부의 영향력 아래 재위했으며, 퇴위 후 상황으로서 인세이를 펼쳐 남북조 시대 정치적 분열의 씨앗이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263년 사망 - 민다우가스
    민다우가스는 13세기 중반 리투아니아의 통치자로, 리투아니아 대공국을 왕국으로 승격시키고 가톨릭으로 개종하여 최초의 리투아니아 국왕이 되었으나, 그의 통치는 내외부 갈등과 1263년 암살로 끝맺었으며 리투아니아 국가의 기초를 세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 1263년 사망 - 신란
    신란은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이자 정토진종의 개창자로,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강조하는 절대 타력의 사상을 설파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교행신증》 등이 있다.
  • 유리가 - 이반 1세
    이반 1세는 모스크바 공작으로 즉위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의 지위를 얻어 모스크바 대공국을 러시아의 중심지로 만들고, 킵차크 칸국과의 외교, 재정적 수단, 트베리 공국과의 갈등 승리, 러시아 정교회 중심지 이전 등을 통해 모스크바 대공국의 성장과 러시아 국가 형성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유리가 - 이반 2세
    이반 2세는 이반 1세의 아들이자 흑사병으로 사망한 형을 이어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으며, 킵차크 칸국에 복속되었으나 키예프의 알렉세이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영토를 확장하고 1359년 사망했다.
알렉산드르 넵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672년의 ''[[차르스키 티툴랴르니크]]''에 있는 초상화
1672년의 차르스키 티툴랴르니크에 있는 초상화
신분
직함블라디미르 대공
재위 기간1252년–1263년
전임자안드레이 2세
후임자야로슬라프 3세
직함키예프 대공
재위 기간1249년–1263년
전임자야로슬라프 3세
후임자야로슬라프 4세
직함노브고로드 공
재위 기간1236년–1240년
전임자야로슬라프 5세
후임자안드레이 1세
재위 기간1241년–1256년
전임자안드레이 1세
후임자바실리 1세
재위 기간1258년–1259년
전임자바실리 1세
후임자드미트리 1세
개인 정보
출생일1221년 5월 13일
출생지페레스라블잘레스키, 블라디미르-수즈달
사망일1263년 11월 14일
사망지고로데츠, 블라디미르-수즈달
매장지알렉산드르 넵스키 수도원,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종교동방 정교회
로마자 표기Aleksandr Yaroslavich Nevsky
가족 관계
배우자알렉산드라 폴로츠카야
자녀드미트리 알렉산드로비치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다닐 알렉산드로비치
아버지야로슬라프 2세
기타 정보
참고차르스키 티툴랴르니크, 1672년 초상화

2. 생애

1220년 블라디미르에서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2세 프세볼로도비치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귀족들과의 분쟁으로 잠시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떠났지만, 리보니아 독일 기사단의 침입을 걱정한 시민들의 요청으로 1241년노브고로드 공화국으로 다시 귀환하여 1242년 페이푸스 호 전투에서 튜튼기사단에게 승리했다. 이후 루스의 국민적인 영웅으로 숭배받기 시작했으며 킵차크 한국의 에게서 공식적으로 노브고로드공의 지위를 받았다. 1252년부터 블라디미르 대공으로 취임하여[10] 루스 공국들과 킵차크 한국 사이를 중재하였으며, 1259년에는 농민 반란을 진압하였다. 1263년에 사망하였다.

2. 1. 초기 생애

1220년 블라디미르에서 블라디미르 대공국의 야로슬라프 2세 대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야로슬라프 2세이며, 어머니는 페오도시야 므스티슬라브나이다.

''경건하고 위대한 알렉산드르 공의 생애와 용기에 관한 이야기''(Повесть о житии и о храбрости благоверного и великого князя Александраru)에 따르면, 알렉산드르는 다른 사람들보다 키가 컸고 그의 목소리는 나팔처럼 사람들에게 울려 퍼졌으며, 삼손과 같은 힘과 솔로몬의 지혜를 가졌다고 한다.[5]

어린 시절부터 지혜와 용기를 겸비한 명장으로 아버지에게 높이 평가받았으며, 1236년 노브고로드 공 자리를 계승받았다. 같은 해 Mongol invasion of Europe|label=바투의 서정영어이 시작되어 주변국이 공격받았지만, 몽골군은 노브고로드를 침공하지 않았다. 대신 독일 기사단과 스웨덴이 북방 십자군을 통해 노브고로드의 영토를 노리고 있었다.

2. 2. 노브고로드 공 시절

1236년, 알렉산드르는 노브고로드인들에 의해 공작(크냐즈)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이미 노브고로드에서 아버지의 총독으로 봉사했다.[6]

1237년, 스웨덴은 교황의 승인을 받아 십자군을 시작했고, 1240년에는 발트해 동부 지역에서 새로운 원정을 시작했다. 12세기 중반부터 카렐리아인들이 노브고로드의 동맹이자 조공국이었기 때문에 핀란드 선교의 동쪽 확장으로 인해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다.

1240년 네바 강 전투에서 스웨덴 군을 격파하였으나, 이후 노브고로드인들과의 불화로 인해 잠시 페레슬라블-잘레스키로 추방되었다. 『노브고로드 제1 연대기』에 따르면, 알렉산드르 공은 노브고로드 사람들과 사이가 틀어져, 어머니와 아내, 모든 부하들을 데리고 아버지에게로 갔다. 이는 노브고로드 도시 귀족 중 독일과 결탁하여 협조 노선을 취하는 파벌이 독일과의 강경한 대결 자세를 보였던 알렉산드르를 꺼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얼마 지나지 않아 튜튼 기사단이 노브고로드를 침공하자, "친독일파" 도시 귀족은 실각하고, 알렉산드르의 아버지 야로슬라프 2세와의 두 차례에 걸친 교섭을 거쳐, 알렉산드르는 다시 공으로 초빙되었다. 1241년 다시 노브고로드 공의 자리에 앉은 알렉산드르는 독일과 결탁한 세력들을 숙청하고, 노브고로드 공국 내의 대독일 관계를 통일한다.

1242년 얼음 전투에서 튜튼 기사단을 상대로 대승을 거둔 알렉산드르는 이후에도 노브고로드 공화국을 계속 강화했다. 1251년에는 노르웨이와 최초의 평화 조약을 체결했으며, 1256년에는 노브고로드의 발트해 진출을 막으려는 스웨덴을 핀란드에서 격퇴했다. 1261년에는 리투아니아 왕 민도우가스와 리보니아 기사단에 대항하는 조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2. 2. 1. 네바 강 전투 (1240년)

1240년 여름, 비르예르가 이끄는 스웨덴 군이 노브고로드로 침공해왔다. (네바 강 전투) 하지만 알렉산드르는 이에 맞서 현재의 우스티 이조라 부근에서 소수의 병력으로 대승을 거두어 스웨덴 군을 괴멸시켰다.[1] 이로 인해 알렉산드르의 용맹함이 러시아 전역에 알려졌으며, 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후 알렉산드르는 "네바강의 승리자"라는 의미의 "네프스키"라고 불리게 되었다.[1] 다만, 비 루스 측 기록에서는 이러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고, 실제 역사에서 스웨덴은 이 당시 내전 중이었기 때문에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이를 부정한다.[1]

2. 2. 2. 튜튼 기사단과의 전투 (1242년)

1241년 노브고로드 공화국으로 돌아온 알렉산드르는 독일과 결탁한 세력들을 숙청하고, 노브고로드 공화국 내에서 독일과의 관계를 재정립하였다. 1242년 4월, 튜튼 기사단이 침공해 오자, 알렉산드르는 얼음 전투(러시아어: Ледовое побоище, 영어: Battle of the Ice)에서 승리하여 명성을 떨쳤다.

2. 3. 블라디미르 대공 시절

알렉산드르 야로슬라비치의 인장(앞면과 뒷면)에는 기마병이자 성인인 테오도르 스트라텔라테스로서의 공작의 모습이 담겨 있다. 1236년 이후.


1238년 몽골군에 의해 블라디미르 대공국이 정복된 후,[9] 당시 통치자였던 유리 2세는 시트 강 전투에서 사망했고, 그의 동생 야로슬라프 2세(알렉산드르의 아버지)는 몽골 칸에게 새로운 공작이 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하여 받았다. 공작으로서 그는 노브고로드를 아들 알렉산드르에게 할당했다. 그러나 1245년 중앙아시아의 몽골 수도 카라코룸으로 여행하던 중 야로슬라프는 사망했다. 1248년 알렉산드르와 그의 형 안드레이 2세 역시 대칸에게 출두하기 위해 카라코룸으로 갔을 때, 안드레이는 블라디미르 대공의 칭호를, 알렉산드르는 키예프의 명목상의 영주권을 받았다.[9] 두 사람은 1249년 가을에 돌아왔다.

루리크 루스 공작들은 칸 앞에 직접 나타나 경의를 표하고 그들의 공국에서 확인될 ''자르릭''(특허장)을 받아야 했다. 몽케가 구육의 죽음 이후 불과 2년 만인 1251년 새로운 대칸이 되자 그는 사라이 볼가 강에서 다시 나타날 것을 요구했지만 안드레이는 거절했다. 사르타크 칸과의 친분 덕분에 몽골군의 그 후 침략은 처음 정복 이후 북동부 루스에 대한 첫 번째 모험이었으며, 안드레이는 스웨덴으로 추방되었고 알렉산드르는 1252년에 블라디미르 대공의 칭호를 받았다.[10] 당시 키예프가 몰락한 후 가장 고위 공작이었다. 알렉산드르는 자신의 영토 내에서 몽골 통치를 충실히 지지했다. 1259년 그는 군대를 이끌고 노브고로드 시로 가서 이전에 킵차크 칸국에 바치기를 거부했던 조공을 강제로 바치게 했다.

1245년 야로슬라프 전투에서 할리치-볼히니아 대공국이 영토 확대를 노리는 인접국인 폴란드 왕국헝가리 왕국에 승리했다. 1246년 9월 20일 미하일 2세가 암살당하고, 다니일 로마노비치가 킵차크 칸국에 복속했다.

1246년 9월 30일 아버지 야로슬라프 2세가 몽골 제국의 수도 카라코룸에 가서 도레게네가 옹립한 제3대 황제 구유크의 즉위식에 참석했을 때 사망했다. 알렉산드르는 도레게네나 구유크 등과 대립하는 자세를 보이지 않았지만, 대립하는 소르칵타니 베키킵차크 칸국의 바투와 오히려 킵차크 칸국의 수도 사라이를 방문하여 복속할 것을 약속했다. 1248년 4월 구유크가 급사하고, 1251년 소르칵타니 베키의 장남 몽케가 제4대 황제로 즉위했다.

이후 킵차크 칸국 군대를 이용하여 1252년 킵차크 칸국에 반항적인 태도를 취하던 알렉산드르의 동생 안드레이 2세를 추방한 후, 블라디미르 대공의 자리를 계승하는 것을 허락받았다. 그 후에는 대공으로서의 권력과 권위를 높이기 위해 국내의 반 킵차크 칸국(몽골) 운동을 탄압하는 한편, 종교를 보호하여 어느 정도의 자유를 허용했다. 키예프 관구 대주교 키릴 3세 또한 로마 가톨릭으로의 개종을 강요하는 서쪽의 독일 기사단 등보다 신앙 면에서 비교적 관대한 동쪽의 몽골과 동맹하는 외교 정책을 지지했다(몽골군 중 나이만 등은 네스토리우스파를 신봉하고 있었다).

3. 정치적 업적

그는 일생동안 반카톨릭에 친몽골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국내의 정적들을 견제하는 데 몽골의 권위를 이용하기도 했다. 또한 1240년 네바 강 전투에서 적은 병력으로 스웨덴군을 격파했다는 전설이 유명하나, 비 루스 측 기록에서는 이러한 기록이 발견되지 않고, 실제 역사에서 스웨덴은 이 당시 내전 중이었기 때문에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이를 부정한다.

알렉산드르가 대외 전쟁에서 계속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전국 시대의 시마즈씨나 몽골군처럼, 적을 유인하여 복병으로 섬멸하는 전술을 특기로 했기 때문이다. 또한, 조치 울루스에 신종을 맹세함으로써 그 침공과 국가의 황폐를 막았고(바투가 알렉산드르의 용명을 두려워하여 침공하지 않았다고도 한다), 대공이 되기 위해 그 군사력을 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사료에서는 국민의 반몽골 운동에 대해 가혹한 탄압을 가했다고 전해진다.

스웨덴이나 독일 기사단과의 전투(네바강 전투, 빙상의 결전)에서 승리를 거두었다는 기록은 서유럽 가톨릭 세력에는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러시아 이외의 역사가들로부터 그의 전공은 의문시되고 있다. 회전은 있었지만 전투는 더 소규모였을 것이라는 설도 있다.

4. 사후 평가

러시아의 국민적 영웅이다. 그가 죽은 뒤에도 그가 남긴 업적은 높이 평가받는다. 특히 국토를 잘 지켰다는 높은 공적 때문에 러시아 민요에는 그를 찬양하는 내용을 담고있는 것이 많다. 또, 러시아 정교회를 포함한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를 성인으로 받아들었다.[25]

표트르 1세는 네바강 전투의 옛 전쟁터 부근에 수도원을 세우고 그의 유골을 안장했다. 러시아 제국 정부는 넵스키 훈장을 제정하였다. 1942년 소련 정부도 러시아 제국 정부의 전례에 따랐다.

알렉산드르가 대외 전쟁에서 계속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일본의 전국 시대의 시마즈씨나 몽골군처럼, 적을 유인하여 복병으로 섬멸하는 전술을 특기로 했기 때문이다. 또한, 조치 울루스에 신종을 맹세함으로써 그 침공과 국가의 황폐를 막았고, 대공이 되기 위해 그 군사력을 이용하기도 했다. 그러나 일부 사료에서는 국민의 반몽골 운동에 대해 가혹한 탄압을 가했다고 전해진다.

스웨덴이나 독일 기사단과의 전투(네바강 전투, 빙상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는 기록은 서유럽 가톨릭 세력에는 전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러시아 이외의 역사가들로부터 그의 전공은 의문시되고 있다는 설도 있다.

사후 곧바로 성인으로 여겨지기 시작하여, 1547년 러시아 정교회로부터 성인으로 추대되었다. 이는 알렉산드르가 동방으로 진출해 오던 가톨릭의 영향을 배제하는 데 열심이었던 것이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성인으로서의 칭호는 네바의 성 대공 알렉산드르[25]이며, 축일은 11월 23일, 8월 30일 (불후체의 이관) 및 5월 23일, 성령 강림 대축일 후 셋째 주일, 6월 23일 (날짜는 그레고리력)이다.

5. 가족 관계

1242년, 알렉산드르는 폴로츠크의 공작 브랴체슬라프 바실코비치의 딸 알렉산드라와 결혼했다. 그들은 다섯 자녀를 두었다.

이름비고
바실리1251년에 노르웨이의 크리스티나 공주와 약혼했으나 결혼 계약이 파기됨
예브도키야 알렉산드로브나스몰렌스크의 콘스탄틴 로스티슬라비치와 결혼
드미트리페레슬라블의 공작이자 블라디미르의 대공
안드레이고로데츠의 공작이자 블라디미르의 대공
다니엘모스크바의 공작[11]


참조

[1] 웹사이트 Благоверный князь Алекса́ндр (в схиме Алекси́й) Невский https://azbyka.ru/da[...] 2021-08-26
[2] 서적 Православные храмы Москвы https://books.google[...] Изд. Московской Патриархии 1988
[3] 간행물 About the Birthdate of Alexander Nevsky https://web.archive.[...] 1986
[4] 서적 Dynasties of the world: a chronological and genealogical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5] 문서 Second Pskovian Chronicle Isbornik
[6] 서적 The Crusades [4 volumes]: An Encyclopedia [4 volum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 2006
[7] 서적 Kingship and State Formation in Sweden 1130-1290 https://books.google[...] BRILL 2007-03-31
[8] 서적 The Crusades: a History 1987
[9] 서적 A History of Russian Law: From Ancient Times to the Council Code (Ulozhenie) of Tsar Aleksei Mikhailovich of 1649 https://books.google[...] Brill 2017
[10] 서적 The Story of Russia Metropolitan Books
[11] 웹사이트 "History", St. Daniel Monastery, Moscow https://web.archive.[...] 2019-01-27
[12] 웹사이트 Translation of the relics of St Alexander Nevsky https://oca.org/sain[...] The [[Orthodox Church in America]] 2019-04-23
[13] 웹사이트 Aleksandro-Nevskaya Lavra https://rusmania.com[...] rusmania.com 2019-04-23
[14] 웹사이트 Alexander Nevsky's shrine: Why Petersburg relic is leaving the Hermitage https://www.rbth.com[...] 2023-05-18
[15] 웹사이트 Patriarch Kirill Places Relics of St. Alexander Nevsky in Newly Returned Sarcophagus https://orthochristi[...] 2023-09-13
[16] 웹사이트 Alexander Nevsky ejected from the liturgical calendar of the Ukrainian Orthodox Church https://anglican.ink[...] 2024-02-13
[17] 서적 Sveriges Österland. Från forntiden till Gustav Vasa Svenska litteratursällskapet i Finland
[18] 서적 Aftermath: Legacies and Memories of War in Europe, 1918–1945–1989 https://www.google.c[...] Routledge 2016-03-23
[19] 문서 "Proverbs and the Folk Tale in the Russian Cinema: The Case of Sergei Eisenstein’s Film Classic Aleksandr Nevsky" Peter Lang
[20] 서적 The Reel Middle Ages: American, Western and Eastern European, Middle Eastern and Asian Films About Medieval Europe https://www.google.c[...] McFarland 2015-08-13
[21] 서적 Troubled Identity and the Modern World https://www.google.c[...] Springer 2009-05-25
[22] 문서 The S.S. [[Henry W. Corbett]]
[23] 뉴스 Stalin voted third-best Russian http://news.bbc.co.u[...] BBC 2008-12-28
[24] 웹사이트 Подробнее : Министерство оборон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function.mil[...] 2021-05-22
[25] 문서 『正教改暦 2008年』 [[日本ハリストス正教会]]教団発行
[26] 문서 北の十字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